이 포스팅은 System Dynamics 시리즈 8 편 중 6 번째 글 입니다.

  • Part 1 - 01: 다물체 동역학 개론
  • Part 2 - 02: 평면에서 다물체계의 운동학
  • Part 3 - 03: Orthogonality, Vector Differentiation, Jacobi's Theorem
  • Part 4 - 04: 평면에서의 기구학
  • Part 5 - 05: 기구학적 제약
  • Part 6 - This Post
  • Part 7 - 07: Computational Algorithm
  • Part 8 - 08: Newton-Euler Equations, D'Alembert's Principle
▼ 목록 보기

Tayler Series

테일러 급수는, 임의의 함수를 무한개의 다항식을 더하여 근사하는 방법이다.

\[f(x)\;=\;f(a)+f^\prime(a)(x-a)+{f^{\prime \prime}(a)\over 2!}(x-a)^2+{f^{\prime \prime \prime}(a)\over 2!}(x-a)^3 \cdots\\ \;\\ \;=\;\sum_{n=0}^{\infin}{f^{n}(a)\over n!}(x-a)^n\]

보통 테일러 급수는 1차 함수로 근사할 때 많이 사용한다.

Newton-Rahpson method

뉴턴 랍슨 메서드의 핵심은, iterative 접근이다.

1변수 함수에서 Newton-Rahpson method

스크린샷 2019-05-07 오후 1 18 53

다음과 같은 함수가 있다고 하자. 우리가 하고 싶은 것은 이 함수의 을 찾는 것이다. 그러기 위해서 테일러 시리즈를 사용해보자. 이 함수 f는 1차까지만 근사하면 다음과 같다.

\[f(x)\;=\;f(a)+f^\prime(a)(x-a)\]

이 때, 이 근사를 시작하는 점, a를 x_i로 주면,

\[f(x)\;=\;f(x_i)+f^\prime(x_i)(x-x_i)\]

그렇다면 이 xi로 시작해서 이 함수를 근사했으므로, 근사한 식을 0으로 만드는 것이 답이다. **이 근사된 함수로 나온 solution을 x(i+1) 이라 하자.**

\[f(x_{i+1})\;=\;f(x_i)+f^\prime(x_i)(x_{i+1}-x_i)\\ \;\\ f(x_{i+1})\;=\;f(x_i)+f^\prime(x_i)(\Delta x)\\ \;\\ f(x_{i+1})\;=\;0을\;만족하는 \;점이다.\]

우리는 x_(i+1)을 찾고 싶으므로, 위의 가정들을 식에 다 집어넣으면,

\[f(x_{i+1})\;=\;f(x_i)+f^\prime(x_i)(\Delta x_i)\;=\;0\\ \;\\ \Delta x_i\;=\;-{f(x_i)\over f^{\prime}(x_i)}\]

따라서, 우리가 원하는 x_(i+1) 은 다음과 같다.

\[x_{i+1}\;=\;x_i\;+\;\Delta x_i\]

나온 x_(i+1)을 다시 a로 넣고, 이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, 해 근처에 갔을 때, 델타 x가 매우 작아진다. 이 때, 우리는 해를 찾았다고 return 해준다.

일반화된 Newton-Rahpson method

그렇다면, 식이 2개, 변수가 2개인 벡터 함수에서는 어떻게 근사할 수 있을까?

\[\overset{\rightarrow}{f}(x,y)\;=\; \begin{bmatrix} f_1(x,y)\\ f_2(x,y) \end{bmatrix}\]

각각을 테일러 시리즈로 전개하자. 1차항 까지.

\[f_1(x_{i+1}, y_{i+1})\;=\;f_1(x_i, y_i)+{\partial f_1 \over \partial x}(x_i,y_i)(\Delta x_i)+\;{\partial f_1 \over \partial y}(x_i,y_i)(\Delta y_i)=\;0\\ \;\\ f_2(x_{i+1}, y_{i+1})\;=\;f_2(x_i, y_i)+{\partial f_2 \over \partial x}(x_i,y_i)(\Delta x_i)+\;{\partial f_2 \over \partial y}(x_i,y_i)(\Delta y_i)=\;0\\\]

우변이 0인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의미 이다. 우리는 0이 되는 x, y를 찾고 싶은 것이기에 근사한 식에서 함수값이 0이 될 때, x*(i+1), y*(i+1) 이 필요하다. 편미분 후 x_i, y_i를 넣는 것을 생략해서 표현하면,

\[\begin{bmatrix} \partial f_1 \over \partial x & \partial f_1 \over \partial y\\ \partial f_2 \over \partial x & \partial f_2 \over \partial y\\ \end{bmatrix} \begin{bmatrix} \Delta x_i\\ \Delta y_i\\ \end{bmatrix} \;=\; \begin{bmatrix} -f_1(x_i, y_i)\\ -f_2(x_i, y_i)\\ \end{bmatrix}\]

여기서,

\[J\;=\;\begin{bmatrix} \partial f_1 \over \partial x & \partial f_1 \over \partial y\\ \partial f_2 \over \partial x & \partial f_2 \over \partial y\\ \end{bmatrix}\]

J를 자코비안 행렬 이라 한다.

\[\Delta \overset{\rightarrow}{h} \;=\; \begin{bmatrix} \Delta x_i\\ \Delta y_i\\ \end{bmatrix} \;=\; \begin{bmatrix} \partial f_1 \over \partial x & \partial f_1 \over \partial y\\ \partial f_2 \over \partial x & \partial f_2 \over \partial y\\ \end{bmatrix}^{-1} \begin{bmatrix} -f_1(x_i, y_i)\\ -f_2(x_i, y_i)\\ \end{bmatrix}\] \[x_{i+1}\;=\;x_i\;+\;\Delta x_i \\ \;\\ y_{i+1}\;=\;y_i\;+\;\Delta y_i\]

이므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다. 역시나 초기값 설정이 필요하다!

Position Analysis

이전 글에서 우리는 제약식들이 모인 벡터함수 C를 정의했다. 우리는 결국 벡터함수 C = 0 이되는 해, 즉 q 벡터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. 따라서 우리는 이 벡터 함수 C를 테일러 시리즈로 근사한 뒤 Newton-Rahpson method 를 사용해서 해를 구하자! 그러기 위해서는 벡터함수 C를 근사화 해야 한다. 테일러 시리즈를 적용하면,

\[\overset{\rightarrow}{C}(\overset{\rightarrow}{q_{i+1}}\;,t)\;=\; \overset{\rightarrow}{C}(\overset{\rightarrow}{q_{i}}\;,t)\;+\; C_{q_i}\Delta \overset{\rightarrow}{q_i}\;=\;0\] \[C_{q_i}\;=\;{\partial \overset{\rightarrow}{C} \over \partial \overset{\rightarrow}{q_{i}}}\;=\; \begin{bmatrix} {\partial C_1\over \partial q_1} & \dots & {\partial C_1\over \partial q_n} \\\vdots\ & & \vdots\\ {\partial C_m\over \partial q_1} & \dots & {\partial C_m\over \partial q_n}\\ \end{bmatrix}\]

C 행렬은 자코비안 행렬이다. 따라서,

\[\Delta \overset{\rightarrow}{q_i}\;=\;-[ C_{q_i}]^{-1\;}\overset{\rightarrow}{C}(\overset{\rightarrow}{q_{i}}\;,t)\] \[\overset{\rightarrow}{q_{i+1}}\;=\;\overset{\rightarrow}{q_i}\;+\;\Delta \overset{\rightarrow}{q_i}\]

로 q벡터를 구할 수 있다. 이를 반복하다가 특정 조건일 때, 우리는 반복을 멈추고 return 하면되는데,

\[|\Delta \overset{\rightarrow}{q_i}|\;<\;\epsilon_1\\ \;\\ OR\\ \;\\ |\overset{\rightarrow}{C}(\overset{\rightarrow}{q_{i}}\;,t)|\;<\;\epsilon_2\]

두 식의 의미는, 하나는 다가가는 step size이고, 두번째는 함수값의 size 차이이다.

스크린샷 2019-05-07 오후 2 24 47

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에는 다음과 같이 두가지의 기준을 세울 수 있으므로, 두 기준에 대해서 iteration을 멈춘다.

Notice

우리는 t가 변수가 아닌 것에 주목해야 한다. 우리는 해를 수치적으로 구할 것이기 때문이다. t가 0일 때, q벡터의 초기값을 임의로 잡고, Newton 메서드, q 구함. t가 0.01 일 때, q벡터의 초기값을 임의로 잡고, newton 메서드 , q 구함. 따라서 t는 상수로 생각하고 우리는 문제를 푼다.

Velocity Analysis

같은 방법으로 제약식이 주어졌을 때, 우리가 궁금한 것은 q_dot 벡터이다.

\[\overset{\rightarrow}{C}(\overset{\rightarrow}{q}\;,t)\;=\;\overset{\rightarrow}{0}\]

이므로,

\[{d\overset{\rightarrow}{C}(\overset{\rightarrow}{q}, t) \over dt}\;=\;{d\overset{\rightarrow}{C} \over d\overset{\rightarrow}{q}}\cdot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\;+\;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C}} \;=\; C_{q}\cdot 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\;+\;\overset{\rightarrow}{C_{t}} \;=\;\overset{\rightarrow}{0}\] \[\overset{\rightarrow}{C_{t}}\;=\; \begin{bmatrix} {d C_1\over dt}\\ {d C_2\over dt}\\ \vdots\\ {d C_{n_c}\over dt}\\ \end{bmatrix} \\ \;\\ n_c\;=\;제약식의 \;갯수\]

Ct 벡터는 t에 대해 미분한 벡터이므로, Driving constraint 식 이외 항은 0이다. 따라서 결론적으로,

\[C_{q}\cdot 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 \;=\;-\overset{\rightarrow}{C_{t}}\\ \;\\ 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\;=\; -[ C_{q}]^{-1}\overset{\rightarrow}{C_{t}}\]

이다.

Acceleration Analysis

제약식을 두번 미분해서, q_twodot 을 구하면 된다.

\[{d^2\overset{\rightarrow}{C}(\overset{\rightarrow}{q}, t) \over dt^2}\;=\; {d\over dt}[{d\overset{\rightarrow}{C} \over d\overset{\rightarrow}{q}}\cdot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\;+\;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C}}] \;=\; {d\over dt}[ C_{q}\cdot 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\;+\;\overset{\rightarrow}{C_{t}}] \;=\;\overset{\rightarrow}{0}\]

결과적으로,

\[C_{q}\cdot \overset{\cdot 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 \;=\;\overset{\rightarrow}{Q_{d}}\\ \;\\ \overset{\cdot 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\;=\; [ C_{q}]^{-1}\overset{\rightarrow}{Q_{d}} \\ \;\\ \overset{\rightarrow}{Q_{d}}\;=\;-( C_{q} 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)_q 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\;-\;2 C_{qt} \overset{\cdot}{\overset{\rightarrow}{q}}\;-\;\overset{\rightarrow}{C_{tt}}\]